사설망 연결의 진화VPN을 통한 안전한 통신의 구현 현재 인터넷에서 데이터의 전달을 담당하는 프로토콜인 Internet Protocol (IP, 이하 인터넷 프로토콜) 의 설계에는 패킷(데이터)의 암호화가 전혀 반영되어 있지 않았다. 인터넷의 성장은 IPv4 Address 의 폭발적인 수요를 불러왔고 이는 사설망(Private Network)과 전용 회선을 탄생하게 했다. IPv4의 대역 중 일부를 Private IP(이하 사설 IP)로 지정하여 가정, 기업, 기관 등 근거리 통신망(Local Area Network, 이하 LAN)에서 사용하도록 한 것이다. 사설망의 장점은 IP 주소의 절약 뿐 아니라 사설 IP를 이용해 별도의 네트워크를 구성함으로써 외부 인터넷의 접근으로부터 내부 네트워크를 보호..
https://school.programmers.co.kr/learn/courses/30/lessons/133026?language=mysql 프로그래머스SW개발자를 위한 평가, 교육, 채용까지 Total Solution을 제공하는 개발자 성장을 위한 베이스캠프programmers.co.krSELECT i.INGREDIENT_TYPE, SUM(f.TOTAL_ORDER) as TOTALORDERFROM FIRST_HALF f JOIN ICECREAM_INFO i ON f.FLAVOR = i.FLAVORGROUP BY i.INGREDIENT_TYPE ORDER BY TOTALORDER
웹스톰에서 실행되는 브라우저 URL 웹스톰에서 브라우저 파일을 실행하면 http://localhost:63342/js-counter-test/index.html?_ijt=96qe1sjtml43gd0fvi088tabrj&_ij_reload=RELOAD_ON_SAVE와 같은 주소를 얻을 수 있다. 이 url 은 localhost:8080 과 달리 실행할 때마다 계속 바뀌는 값이다. 리로드 할 때마다 값이 변경되는 이유는 웹스톰이 내부에서 자동으로 브라우저 파일을 띄워 제공하기 때문이라고 한다.URL에 포함된 쿼리 파라미터(?_ijt=...&_ij_reload=...)는 웹스톰의 실행 환경에 의해 자동으로 생성된 값들이다. 이 값들은 웹스톰의 디버깅 기능이나 실시간 리로딩 기능과 관련이 있다._ijt와 같은..
호스트 파일(Host File)은 운영 체제에서 도메인 이름과 IP 주소를 매핑하는 중요한 텍스트 파일이다. 이 파일은 네트워크 상에서 컴퓨터들이 서로를 식별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역할을 하며, DNS(Domain Name System) 서버가 없을 때 로컬 시스템에서 이름을 IP 주소로 변환하는 데 사용된다.호스트 파일은 일반적으로 각 컴퓨터에서 사용되는 기본적인 네트워크 연결을 관리하며, 파일 내에 IP 주소와 대응되는 도메인 이름 또는 호스트 이름이 나열된다. 예를 들어, "localhost"는 127.0.0.1 또는 IPv6 주소인 "::1"에 매핑되어 있다. 이러한 매핑 덕분에 사용자는 IP 주소 대신 "localhost" 또는 "127.0.0.1"을 사용하여 로컬 컴퓨터와 통신할 수 있다.호스..